All in 일상

지난 주 아이는 개학을 했습니다. 개학 첫날 학교에 가서 자랑을 했다고 합니다. 방학 동안에 정말 재미있게 놀았다고 말이죠. 선생님이 뭘 그렇게 재미있게 놀았냐고 물었더니, 아빠하고 정말 재미있게 놀았다고 웃으며 자랑을 하더랍니다.

양은 구약성서에서 고대 이스라엘이 신에게 드리는 제사에 제물로 바쳐졌던 짐승 중 하나입니다. 주로 개인이나 공동체의 죄를 대신해 신에게 바쳐져 죽는 희생제물이었습니다. 그래서 어느 사회에서 집단이나 공동의 잘못괴 죄를 대신해서 한 사람을 희생시킬 때 그 사람을 두고 "희생양"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대개 문제는 부모에게 있다. 아이가 살아가면서 겪어야할 소중할 것들을 지켜봐 주기 보다는 너무 성급하게 사회적 성공과 부모의 가치관을 아이에게 강요하려고 한다. 물론 그런 삶이 아이의 사회적 성공과 행복을 보장한다면 그런 교육도 꽤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나는 그럴 자신도 없고 또 그렇게 해줄 능력도 없다고 생각하기에 도저히 아이에게 그렇게 하지를 못하겠다. 

순수한 목적은 욕망을 넘어서며 차가운 불길을 따스한 온기로 만드는 힘이 있다. 열쇠의 처음 온기는 흔들리는 눈과 손을 잠잠하게 만들어 준다. 새로운 세계를 욕망이 아닌 아름다움과 가치로 바라 볼 수 있는 따듯한 지성을 허락한다. 감정과 욕망의 열기가 호기심과 가치의 눈으로 바뀌기 시작하는 그 때가 비로소 진정한 선물이 들어있는 문을 열 수 있는 때다.

자연은 두렵고 무섭지만 무한한 매력으로 우리를 끌어당긴다. 한결같고 깊고 크고 강하다. 그러면서도 지극히 섬세하고 변함없다. 기쁠때는 기쁘게 나를 맞아주고 슬플 때는 슬프게 나를 맞아준다. 사심이 없이 나를 대해준다.